카테고리 없음

월급쟁이 부자로 은퇴하라

엄빠. 2022. 5. 15. 22:42

너나위 저 | 알에이치코리아 (RHK) | 2019년 05월 22일


평생 투자해야 하는 존재 : 월급쟁이

평범한 월급쟁이들은 보통 자본주의에서 인플레이션을 크게 느끼지 못하고 살아갈 가능성이 큽니다. 자본주의에서 인플레이션이란, 통화량 증가에 따라 돈의 가치가 하락하는 현상으로, 예전에 비해 같은 돈으로 할 수 있는 것이 줄어들게 됩니다. 아울러, 현 자본주의에서는 소득 분배 불균형으로 정부와 기업은 이익에 대해서 분배를 더 많이 가져가지만 노동자는 그렇지 않습니다. 이에 노동 가치는 계속 떨어져가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한, 우리 월급쟁이들은 노후에도 많은 일을 해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나라 복지로는 많이 모자란 노후 생활 지원으로 노후 생활은 점점 셀프화 되어가고 있습니다. 결국 우리는 투자를 평생해야하는 존재입니다. 


생산 자산 투자 : 부동산

투자는 결국 시간 투입 노동에서 시간과 무관하게 돈 버는 사람으로 이동하기 위한 수단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소비 자산보다는 나중에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있는 생산 자산에 돈을 써야 합니다. 다음은 생산 자산의 종류별 장단점을 비교한 표입니다. 

여기서 저자는 무이자 레버리지 (전세 갭 투자)가 가능한 부동산을 선택하고, 실제 성공 투자 스토리와 그에 따른 교훈들(신축 구축보다는 입지, (매도자, 중개인, 임차인)과 좋은 관계, 호재보다는 저평가가 중요)이 담겨있습니다.


투자 기준과 방법

저자는 부동산 투자에 있어 확실한 투자 기준을 세우기를 요청합니다. 저평가, 적은 투자금 (높은 전세가율), 감당 가능한 리스크 수준을 봐야 하는 것입니다. 이 기준에 따라 임장 지역 선정은 높은 전세가율과 내 투자규모, 입주 물량과 미분양 통계를 확인하여 선정합니다. 선정이 된 지역에 현장 조사 전 손품을 팔 수 있는 것들 (일자리, 교통, 환경, 학군, 지역 위상)을 진행하고 실제 현장 조사 (가격, 집 상태, 입주 가능 시기, 사람)를 들어갑니다.


투자를 위한 종잣돈을 마련하기 위해서 고정비와 변동비 지출을 나누고, 각 비용은 필요와 불필요비 성격으로 나누어 정리를 우선합니다.

아울러, 저자는 똘똘한 한채보다는 투자금이 적게드는 저평가 아파트를 여러채 사 모으는 것 (시스템 투자법)이 더 좋으리라 주장합니다. 이때 최악의 유동성 리스크를 대비하여 빠르게 현금화가 가능한 투자 물건을 한두개 정도는 남겨두라는 조언도 잊지 않습니다.


마지막 조언 : 꾸준함

마지막으로, 저자는 투자 결심, 실행도 중요하지만 조급함 보다는 꾸준함을 강조하며 앞으로 10년 이상을 바라보라면서 이 책을 마무리합니다.